"흔들린아기 증후군이란?(쉐이큰 베이비 신드롬)"
흔히 쉐이큰 베이비 신드롬이라고도하고 흔들린 아기 증후군이라고도 하는 이야기 들어보신적 있으십니까?
2세 이하의 아기들이 머리가 심하게 흔들려 뇌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손상되어 뇌출혈과 뇌부종,망막출혈이 발생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흔든 것만으로 어떻게 치명적인 손상이 올 수 있는것일까?"
2세 이하의 영유아시절의 아이들의 뇌는 흔들림에 매우 취약한 상태입니다.
성인은 머리무게가 전체 체중의 2%만 차지하고 머리를 지탱하는 목근육이 다 발달된 상태이기 때문에
큰 흔들림에도 머리를 어느정도 보호할 수 있지만, 아기는 머리무게가 전체 체중의 10%로 몸에 비하여 무겁기 때문에 스스로 머리를 가눌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머리를 지탱하는 목근육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위험한 상태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아직 여물지 못한 아이들이기에 뇌가 머리속에 고정되지 않고 넣어져있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좀 빠를것 같습니다.
그런 아기의 뇌는 뇌척수액에 떠있는 상태인데 아기의 뇌가 충격에 의해 두개골에 부딪힌다면 혈관이 찢어져 뇌출혈이 발생할 확률은 성인보다는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뇌가 손상되면 이유없는 보챔현상과 늘어짐, 토함증상등이 함께 나타나며 뇌출혈, 실명, 심할경우 경련이나 혼수상태에 빠질수 있고 사지마비, 간질 등 영구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도 있습니다.
이와같은 흔들린아기 증후군, 쉐이큰 베이비 신드롬때문에 영아 사망율이 30%에 이르고, 60%에서는 뇌사, 간질, 발달장애를 겪게되기 때문에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년전 매체에서도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보낸지 얼마 안되어서 갑작스런 의식불명으로 사망에 이르럿다는 뉴스도 접하신적이 있으실겁니다.
그만큼 성인에게는 가벼운 행동이지만 영유아에게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항상 기억하셔야 합니다.
"쉐이큰 베이비 신드롬 왜 생기는 것일까?"
아기의 머리 뼈의 크기(넓이) 보다 뇌의 크기가 작아 작은 흔들림에도 뇌가 많이 흔들리게 되며, 머리를
지탱하는 목근육이 잘 발달되어있지 않기에 두개골에 뇌가 부딪혀 뇌출혈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요?"
아기를 안을때에는 반드시 목을 받쳐 안아주고, 흔들기보다는 가볍게 토닥여주는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심하게 울고 투정을 부릴때 아기를 흔들어서 울음이 멈춘다고해서 심하게 흔들어 달래지 마세요.
아이를 흔드는것이 아니라 엄마의 몸을 이쪽저쪽 움직여 걷는편이 더 좋습니다.
아이를 무릎위에 올려놓고 튕기지 마세요.
아이와 놀아줄때에도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아이를 높이 던지거나 침대에서 던지거나하는 놀이는 하지마세요.
아이가 좋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뇌가 흔들려 일시적인 흥분상태로 기분이 좋게 보여지는것이지
아이이게 결코 좋은 놀이가 아니니 주의하시는게 좋습니다.
아이의 성장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빠르면서도 또 느립니다.
그렇기에 항상 아이를 돌봄에 있어서 안일하거나 쉽게 생각해서는 안되겠습니다.
2017/02/28 - [초보 맘들을 위한 육아 정보] - 밤에우는 신생아 영아산통 및 배앓이 증상과 예방 및 대처법
2017/02/27 - [초보 맘들을 위한 육아 정보] - 신생아 태열 신생아 태열관리하는 방법
2017/03/09 - [초보 맘들을 위한 육아 정보] - 카시트 꼭 사야할까요? 아이의 성장에 따른 카시트의 필요성
'임신 및 육아정보 > 육아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설사하는 아이. 설사의 원인과 설사에 좋은음식 나쁜음식 (0) | 2017.04.17 |
|---|---|
| 아이가 기침이 심해요 어떤 관리방법이 있을까요? (0) | 2017.04.15 |
| 밤에우는 신생아 영아산통 및 배앓이 증상과 예방 및 대처법 (0) | 2017.02.28 |
| 신생아 태열 신생아 태열관리하는 방법 (1) | 2017.02.27 |
| 신생아 목욕방법과 배꼽 관리법 (0) | 2017.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