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부모로서 꼭 알아야 할 신생아 기초 상식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소중한 아이가 태어나고 집으로 돌아올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부터
간단하게 점검사항을 알아볼까해요.
집으로 돌아올 준비
우선 가장 중요한것...
카시트는 구비해놓으셨죠?^^
산부인과에서 집으로 돌아올땐 거의 자동차를 이용하게 될텐데요.
이땐 반드시 카시트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어른이 안고서 차량에 탑승해 이동하는 경우가 허다하긴 할텐데요
소중한 아기를 위해서라도 카시트를 이용하시는게 안전합니다.
카시트는 차 앞쪽이 아닌 뒷쪽을 보도록 고정을 하셔야합니다.
신생아는 고개를 가누지 못하기때문에
만에하나 차가 휘청이거나 사고가 날 경우
고개가 심하게 꺾여 엄청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카시트는 아기가 태어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 두는것이 좋습니다.
신생아는 굉장히 연약합니다.
그렇기에 부모의 관심과 보살핌이 중요하게 작용한단 점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집에서 챙겨 보야할 것
체온
신생아는 너무 덥거나 잘 못먹어도
열이 날 수 있습니다.
이럴땐 옷을 시원하게 입혀주고 잠시 시간을 두고 지켜보되
시원한 상태에서도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토하는 현상
신생아는 잘 토하기 나름입니다.
뱃속에 공기가 들어차면 트림중 토하기도 하기때문에
모유 또는 분유를 먹인 뒤에는 트림을 꼭 유도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토하는것이 심할경우 식도가 상할 수 있기때문에
잦은 토함이 있을경우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황달
아기의 얼굴색 또는 피부색이 노란색으로
보인다면 황달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황달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잘 알지 못하겠다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말 응급치료가 필요한 상황일수도 있기때문에
가벼히 넘겨서는 안되겠습니다.
배꼽
신생아의 배꼽은 억지로 떼어내선 절대 안됩니다.
시간이 지나 저절로 말라서 떨어질때까지 놔두되
배꼽에서 진물이 난다면 조금 더 신경써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통상적으로는 배꼽은 잘 말려주기만해도 알아서 떨어져 나갑니다.
해서 어느정도의 진물은 배꼽이 떨어져 나가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현상이지만
또 다른편으론 배꼽을 잘 말려주지 못했을경우
염증이 생겼거나 배꼽에 육아종이 생겼을 경우도 있습니다.
진물이 심해질 경우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잘 놀라는 현상
아기들은 신경계통이 아직 발달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스스로 몸 움직임에도 잘 놀랍니다.
하지만 실제 경기를 일으키고 있을 수도 있기때문에
아기가 놀랏을때는 잘 달래주시되
현상이 지속적이고 자주 있다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포
신생아에게 태어난 뒤 3일정도 쯤 몸에 물집같은 수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생아 중독성 홍반이라고 흔한편인데
보통 1주일정도 유지됩니다.
크게 걱정해야 할 사항은 아니지만
1주일 이상 유질 될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녹변
신생아가 녹변을 보는것이 문제가 있는것은 아닙니다.
평소와 다른 묽은 변을 본다거나
배탈난것처럼 너무 자주 변을 보는게 아니라면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단 모유수유 중 끝까지 먹이지 못할 경우
녹변이 날수 있는데 지방이 풍부한 후유를 먹이지 못해서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2017/10/02 - [임신 및 육아정보] - 열나는 아기 대처방법과 해열제 교차복용방법
2017/04/17 - [임신 및 육아정보] - 설사하는 아이. 설사의 원인과 설사에 좋은음식 나쁜음식
2017/04/15 - [임신 및 육아정보] - 아이가 기침이 심해요 어떤 관리방법이 있을까요?
2017/03/06 - [임신 및 육아정보] - 신생아용품 및 물품 세탁방법
2017/03/04 - [임신 및 육아정보] - 꼭 필요한 출산준비물 정리해보기
2017/02/27 - [임신 및 육아정보] - 신생아 태열 신생아 태열관리하는 방법
2017/02/28 - [임신 및 육아정보] - 밤에우는 신생아 영아산통 및 배앓이 증상과 예방 및 대처법
2017/03/10 - [임신 및 육아정보] - 흔들린 아기 증후군, 쉐이큰 베이비 신드롬에대해 알아보고 예방합시다.
'임신 및 육아정보 > 육아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가 기침이 심해요 어떤 관리방법이 있을까요? (0) | 2017.04.15 |
---|---|
흔들린 아기 증후군, 쉐이큰 베이비 신드롬에대해 알아보고 예방합시다. (0) | 2017.03.10 |
밤에우는 신생아 영아산통 및 배앓이 증상과 예방 및 대처법 (0) | 2017.02.28 |
신생아 태열 신생아 태열관리하는 방법 (1) | 2017.02.27 |
신생아 목욕방법과 배꼽 관리법 (0) | 2017.02.20 |